함께 소리내어 노래부르며, 답답한 마음도 풀고, 눈인사도 나누고, 담소도 나누며 식사하던 그 시간이 그립습니다! 아직 완전하게 모이지는 못하지만, 조금씩 조금씩 한발 한발 내딛어 가는 시간입니다. 모두가 함께하지 못하는 아쉬운 마음을 우리 가락에 담아 힘껏 내지르며, 내일을 기다려 봅니다!
2021.12-07
창공우암
무드등 완성하는 날입니다. 지난 주 잘 말려둔 풍선을 살짝 터트려 주면 안쪽의 풍선은 쏙 빠지고 닥종이 겉면만 남습니다. 이제 장인의 손길처럼 한땀한땀 정성들여 골고루 구멍을 뚫어 줍니다. 송곳을 사용하는 작업이라 다치지 않도록 조심조심하셔야 합니다. 받침대도 만들고 촛불전구를 넣어주면, 은은한 무드등이 완성되었습니다!
2021.12-07
창공우암
오늘 민요교실 B반 어르신들의 수업시간입니다. 오랜만에 소고도 들고, 앞서 배웠던 민요들을 기억을 더듬어 복습해 봅니다
2021.12-07
창공우암
이번 주 주제는 풍선과 닥종이를 활용한 무드등 만들기입니다! 우선 닥종이를 잘게 찢어둡니다. 풍선에 본드를 잘 발라서, 흰색 닥종이를 골고루 붙여 줍니다. 바탕이 된 흰 종이 위에 이젠 색깔을 입혀 봅니다.우리 어르신들은 빨강을 엄~~청 좋아하십니다! 일주일 간 풍선을 잘 말려 두겠습니다!
2021.12-07
창공우암
시작은 가벼운 왈츠... 반복해서 복습하다 보면 몸이 기억하게 될거예요! 오랜만에 에너지 전달하기! 얍! 얍! 얍~~~~~~~~~~~~~! 기합으로 전달되는 에너지파워~~ 기억력과 순발력, 재미와 웃음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내 이름을 불러줘~" 과일 이름 불러주기! "나는 복숭아, 너는 딸기!" 에 이어 "딸기 둘! 딸기 딸기" 까지 도전해봅니다!
2021.12-07
창공우암
11월부터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거리두기 조치에 따라 민요교실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어르신들과 강사의 백신접종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마스크 쓰기, 체온체크, 비말차단 칸막이 설치, 책상과 소품의 소독 등등 안전 방역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였지요~ 오늘부터 시작하는 민요교실은 A반, B반으로 나누어 격주로 참여하게 됩니다.A반과 B반의 참여 인원은 각각 20명을 넘지 않도록 조정하여 어르신들은 안심하고 그동안 답답했던 마음을 털어내고 계십니다! 오늘은 민요 A반이 모였습니다. 지난 시간 불렀던 민요들을 다시 복습하며 소리를 통해 기억을 되살려 봅니다~
2021.12-03
창공우암